사회
총 게시물 2,515건, 최근 0 건
 

 

국민 3명 중 1명 근골격계 질환으로 진료 VDT 증후군 등 현대인의 근골격계 질환 주의

기자명 : 이창희 입력시간 : 2020-10-12 (월) 21:23

건강.jpg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김선민, 이하 ‘심사평가원’)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관련 진료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5,139만 명 중 1,761만 명이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다.

이는 국민 3명 중 1명이 근골격계 통증과 기능저하로 의료기관을 찾는 것을 의미하며, 2009년 대비 수진자 비율이 7.9%p 증가했다. 

 2019년 근골격계 질환 여성 수진자수는 984만 명으로 남성의 1.3배 수준이며, 연령대별로는 50대 수진자수가 401만 명으로(전체의 23%) 가장 많았다.

또한, 2019년 근골격계 질환 연간 총진료비는 7조 4,599억 원으로 전체 건강보험 의료기관 총진료비의 10.9%를 차지하였다. 수진자 1인당 진료비는 42만 3,663원, 1인당 내원일수는 8.2일이었다.

근골격계 통증으로 병의원을 찾은 수진자는 의과의 경우 '심층열 치료'  '표층열 치료' 등의 물리치료를 주로 받았고, 한의과의 경우'경혈침술'과 '투자법 침술' 등의 한방 시술을 주로 받았다.

근골격계 질환 관련 주요 수술은 척추수술 12만 명,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 8만 명, 견봉성형술 7만 명, 반월판연골절제술 5만 명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근골격계 다빈도 질환을 살펴보면, ‘등통증’이 가장 많고, ‘무릎관절증’, ‘기타 연조직장애’순으로 진료를 받았다.

최근 10년간 수진자수 증가율이 높은 근골격계 질환은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 증후군인 ‘근통’, ‘경추통’과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외측상과염(테니스 엘보)’등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 VDT 증후군 주의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 증후군 수진자수는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스마트폰 회선 수가 증가한 2009년∼2012년 사이에 VDT 증후군 수진자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VDT 증후군 수진자수는 2009년 458만 명, 2012년 553만 명(2009년 대비 1.21배 수준), 2019년 634만 명(2009년 대비 1.38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9년∼2012년 전체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는 연평균 4.6% 증가한 것에 비해 VDT 증후군 수진자수는 연평균 6.5% 증가하였다.

※ 전체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 ’09년 1,285만 명 → ’12년 1,470만 명(연평균 4.6% 증가)VDT증후군 수진자수 ’09년 458만 명 → ’12년 553만 명(연평균 6.5% 증가)  

2019년 VDT 증후군 관련 질병 수진자수는 근막통증증후군이 가장 많았고 안구건조증, 일자목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순으로 나타났으며,연령대별로는 50대 수진자수가 가장 많았다.

VDT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의 휴식, 간단한 스트레칭, 받침대 또는 보호대 사용이 도움이 된다.

더불어, VDT 증후군은 작업 기기의 사용과 관련이 높은 만큼 근무 환경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 이와 관련해 고용노동부에서는 ‘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을 고시했다. 작업 기기의 조건, 작업 자세 등

지침 상세 내용을 참고하면 근로자의 근무 환경을 점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고용노동부-정보공개-법령정보-훈령·예규·고시-‘영상표시단말기(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팔꿈치] 테니스 엘보 주의
  ‘외측상과염(M77.1)’(테니스 엘보)은 30대 이하 및 60대 이상에서는 남성 수진자수가 많고, 40대∼50대에서는 여성 수진자수가 많았다.

테니스 엘보는 테니스를 즐기는 사람들에게서 자주 발생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손목을 위로 젖히는 동작으로 인해 반복적인 파열 및 염증이 생기고 이때의 염증이 외측상과염이다. 집안일을 하는 주부, 컴퓨터 작업이 많은 직장인,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 등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외측상과염(M77.1)’수진자수는 65만 6,787명으로 2009년 대비 1.6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30대 남성 수진자수는 여성의 1.7배, 50대 여성 수진자수는 남성의 1.2배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성별] 남성 통풍, 여성 골다공증 주의
성별에 따라 두드러지는 특징을 보이는 근골격계 질환은 남성은 ‘통풍’이 여성에 비해 12.1배 많았고, 여성은 ‘골다공증’이 남성보다 16배 많았다.

2019년 ‘통풍(M10)’ 수진자수는 46만 명으로 그중 남성이 여성의 12배인 42만 명이고, 연령대별로는 50대가 10만 5천 명(전체의 22%)으로 가장 많았다.

통풍은 고연령일수록,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질병이다. 여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요산 제거 능력이 유지되는

여성에 비해 나이가 들수록 요산 제거 능력이 감소하는 남성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골다공증(M80∼M82)’수진자수는 105만 명으로 그중 여성이 남성의 16배 인 99만 명이고, 연령대별로는 70대 이상이 46만 명(전체의 43%)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 몸은 최대 골량에 이른 후 연령 증가로 뼈의 양이 줄어들고, 여성의 경우에는 폐경에 의한 여성 호르몬 감소가 급격한 뼈의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연령층] 10대 남성 연골병증, 박리성 골연골염 주의
근골격계 질환은 전체적으로 고연령 수진자가 많지만, 20대 미만의 저연령에서도 연소성 관절염, 척주측만증, 연골병증 등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대에서 주로 발생하는‘연골병증(M91∼M94)’은 여성에 비해 남성 수진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연골병증(M91∼M94)’수진자수는 11만 명이고 그중 10대 수진자수는 전체의 27%를 차지하였으며, 10대 남성 수진자수는 여성의 3.2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골병증의 세부 질병 중 하나인 ‘이단성 골연골염(M93.2)’(박리성 골연골염)은 저연령에서는 남성 수진자수가 많고, 고연령에서는여성 수진자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단성 골연골염(M93.2)’은 외상이나 반복적인 충격으로 관절 내부의 연골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운동선수 또는 뼈나 연골이 미성숙한 청소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이단성 골연골염(M93.2)’수진자수는 8,257명으로 2009년 대비 2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수진자수는 50대 1,745명, 10대 1,568명 순으로 많았다.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수진자는 고연령에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며, 30대 이하 저연령에서도 인구 대비 근골격계 질환 수진자수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전 연령대의 관심과 주의를 필요로 한다.

김현표 빅데이터실장은“현대인에게 많이 나타나는 근골격계 질환에 주의를 기울이고,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 올바른 자세유지 등의 생활 습관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여줄 것을 당부한다”고 전하며,더불어 “근골격계 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에는 근골격계 질환 관련 분야 전문병원 찾기를 참고하여 의료기관 이용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중앙취재본부 이창희 기자 jesus9@daum.net <저작권자 ⓒ 특수경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특수경찰신문 / 발행인/편집인 : 이주태 / 발행(등록)일자:2012년 2월1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8번지 대일빌딩 4층
TEL:02-2213-4258 / FAX:02-2213-4259 / 등록번호 : 서울 아01956 / 청소년보호책임자:이하영
Copyright ⓒ 특수경찰신문 . All rights reserved.